본문 바로가기

사색 ~ 그 알갱이

재야






재야


앙상한 나목들을 차가운 눈보라가 할퀴지 아니 한다면

돌아오는 봄

건강한 발아(發芽)는 없게 될지도 모릅니다.

절절한 고독에 가슴앓이 한 자만이

그리움과 사랑의 진정성에 닿고

다시 또 몸살을 앓게 된다나요.

굶주림 속에 기갈의 고통을-.

포만의 희열을-.

가난과 만족의 상대적인 절대치의 비례에 의해 체감지수도 비례함을

엥겔이 갈파했다고 했던가요.

과욕은 자멸의 단초이기 십상이라지요.

세밑에선 마음을 비우게 됨은

부질없이 보낸 지난날들

때문만은 결단코 아닐 겁니다.

빈 가슴으로 맞는 내일이 속 편해서,

신년엔 보다 기쁨을 자주 맛보려고 비우렵니다.

가난한 맘에서 기쁨이-.

사랑도 허영과는 먼 거리,

한 참 저 편에서 기다리고 있음도-.


'사색 ~ 그 알갱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령치에서  (0) 2010.02.18
젊은날의 초상  (0) 2010.02.18
이 율  (0) 2010.02.18
5월의 소식  (0) 2010.02.18
연 애  (0) 201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