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하는 사람아

샤랑도에서 띄우는 연서

★한려수도 ‘사량도’에서 띄우는 연서(戀書) ★


-<아무리 찾으려도 없는 얼굴이여

바람 센 오늘은 더욱 너 그리워

진종일 헛되이 나의 마음은

공중의 깃발처럼 울고만 있나니

오오 너는 어디에 꽃같이 숨었느뇨>-


청마(유치환; 1908~1967)는 이렇게 연인(이영도)을 향해 ‘그리움’을 써 보냈지요. 에메랄드 하늘이 훤히 보이는 우체국 창 앞이 아닌 오늘처럼 바람 드센 날 바다로 난 창가에서 연심을 파도에 띄웠는지 모르지요.

0 이,

난 공교롭게도 모두가 초면이 아닌 일행 여섯이서(사량도행 신청을 ‘서동요 산악카페’에 접수했던바 만석이라 양해를 얻어 찌꺼기들(?)만이 렉스턴에 승차함) 본진 보다 한 시간정도 먼저 사천항에 도착하여 부두에 정박한 어선 갑판위에서 숭어회를 즐기는 보너스도 챙겼답니다.

am11시, 청마가 3살부터 줄곧 살았던 통영을 지켜보는 사량도를 향한다오. 엊밤까지 내린 비는 참으로 청량한 조춘(早春)의 정감에 빠져들게 하고, 비린내 품고 쾌속선으로 달려온 해풍까지도 내게 싱그런 봄 향기처럼 느껴집니다.

선상의 내게 달려오는 센 바람을 그때 청마도 맞으면서 그토록 연연했던 삼십대 초반의 아름다운 미망인을 그리며 애태워 찾았을까 싶군요.

상상속의 그 연인들의 모습들이 옥색바다에, 시원한 해풍이 몰고 온 파도에 뒤척이는 몸부림인양 이미지업 되 옵니다.

‘사랑’아닌 ‘사량도’를 향하는 뱃전에서 70여 년 전의 로맨스를 생각함은 그대를 향한 나의 연연일까?

사천항을 떠난 쾌속선은 40여 분간 옥색바다를 뒤척여 놓다 나를 사량도 돈지리 선착장에 내려놓네요. 곧장 지리산을 향합니다.

무슨 지리산이냐고요? 전라경상에 걸쳐있는 지리산(智異山)과 동명인데, 맑은 날 여기정상(398m)서 보면 지리산이 보인대서 ‘지리망산’이라 했다는군요. 그게 세월 탓에 ‘망(望)’자가 없어지고 지리산만 남았답니다.

허나 지리산 못잖은 사량지리산의 아기자기한 지세가 내 맘을 뺐습니다. 뾰쪽바위길에 가끔은 기암을 세우고 적당히 깊은 골로 가파름을 챙기며, 무엇보다도 검푸른 바다와 올망졸망한 섬들의 공존을 엿볼 수가 있어 산릉과 하늘만을 보여주는 지리산과는 정취가 다르네요.

탁 트인 시야 속에 다도해는 뭍을 파먹으려 자꾸만 혀를 낼름거리며 거품을 토하고 있습니다. 아니네요.

뭍이 섬을 잡으려 아랫도리를 첨벙거리며 바다로 뛰어들고 있는 성 같기도 하네요. 그러면서 뭍은 사량도를 더 이상 망망대해로 떠 내보낼 순 없다는 듯 빙 둘러 호위를 하고 있습니다.

그 뭍의 가둠 속에서 난 그대를 가둘 수 있는 묘안을 사량도에서 찾게 될지도 모릅니다. 한 시간 반을 조망하며 걷다보니 지리망산이 내게 우듬지를 내놓네요.


동남쪽 멀리 청마가 그 많은 연서를 날려 보낸 하늘이 보입니다. 영도에겐 사별한 남편사이에서 낳은 어린 딸 하나가 있어 유부남의 사랑을 쉬이 받아들이기가 뭣했지요. 청마도 그걸 넘 잘 알고 있기에 그녀기 빗장을 열지 않아도 기다릴 뿐이고요. 70년 전 로맨스 아닙니까?

지금 그대도 어디 쉽게 빗장을 열수 있습니까? 현호색이 영도의 넋인양 가냘프게 얼굴을 들고 웃네요.

그의 봄 위로 지천으로 서식하고 있는 소사나무가 잎눈을 금방 터트릴는지 물기 가득 머금고 퉁퉁 부풀었습니다.

사량도엔 야생화가 꼭꼭 숨었는지 보이질 않고 깎아지른 바위산은 그의 영원한 친구인 바위 솔을 붙들고 푸른 생명수를 짜주느라 잔뜩 찌푸리고 있답니다. 바위 솔이 초록속내를 까발렸습니다.

월암봉을 밟습니다. 어쩌다보니 삼천포대교가 신기루처럼 다도해 속에서 햇빛에 선명하게 솟습니다. 밤에, 월암봉에서 보면 네온 야경에 더 더욱 신기루가 될 것 같단 생각을 합니다.


0 이,

제일 높다는 불모산(400m)이 지척입니다. 이곳 능선은 줄곧 칼바위 숲이어서 미끄럽진 않지만 넘어졌다하면 부상이 클 거란 생각에 여간 조심하여 발을 때야 합니다.

이곳 산릉이 주는 갸륵함은 한 번도 옥색바다를 가리지 않는다는 점이라오. 들랑날랑 거리는 바다와 뭍의 살가움을 같이 하고 있어요. 내 발 아래 한껏 움츠린 뭍까지 달려온 바닷물을 응시하면 그 놈이 봄의 격한 몸놀림에 놀라서 쫓겨 와 흰 거품을 연신 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흰 거품은 뭍과 바다를 경계 짓는 깃발이 됩니다. 아름다움의 균형을 이루게 하느라 한 번도 깃발을 거두어드린 적이 없는 그들이지요.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海原)을 향하여 흔드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이라고 청마는 ‘깃발’을 흔듭니다. 나도 흔듭니다.

가마봉을 오릅니다. 불모산을 가까스로 아장걸음 하여 내려왔는데, 가마봉이 동아줄 두개를 떨어뜨려놓곤 거만하게 서 있네요. 가마를 탈러면 생명을 담보하라는 시위입니다. 밧줄을 잡습니다. 생명을 겁(?)니다. 허나 별 것 아니데요.

아까도 얘기 했지만 여기 바윈 대게가 칼바위라서 미끄럽진 않습니다.

삶은 용기이고 지혜의 소산이지요. 불안과 태만은 극복해야 할 우리들의 명제지요. 가마를 타고 시간이 궁금하여 휴대폰을 꺼내니 3시가 넘어있고, 거기엔 그대가 써놓은 글자가 깨알처럼 박혔네요. 우린 여태 몇 통이나 썼을까요?


0 이,

청마가 영도에게 보낸 연서가 몇 통이나 되는지 들었습니까? 5천통이 넘는 다네요.

영도는 청마가 죽고 난 후에 그의 사랑을, 그의 마음을 엮지 않으면 죄인이 되겠다싶어 그 마음의 편린들을 책으로 엮었을까 하고 생각을 해봅니다.

-<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으로 시작되는 청마의 “행복”은 사랑의 실체가 어떤 것인가를 말해 줍니다. 청마는 영도가 있어 참으로 행복 했나 봅니다.

바위가 하나일 땐 별롭니다. 작대기 바위라도 뭉쳐있으면 주상절리가 됩니다. 작은 섬이 하나면 그냥 섬입니다.

그들이 옹기종기 모여야 다도해가 됩니다. 그대가 없음 나의 연연은 존재치 않습니다. 영도가 없는 청마의 연서는 존재치 않았겠지요.

옥녀봉(261m)이 바위로 무장을 하고 옆구리에 소나무 몇 그루를 꽂은 채 우리일행을 맞습니다.

참 일행얘길 안했네요. 햇살, 오아시스, 홍길동, 개나리, 진달랜데요 진달랜 지리산만 밟곤 옆길로 샛답니다, 아직 제철이 아닌데 까불다(?) 미끄러져 겁먹고 하산했지요.

진달랜 거기서 잘 생각했어요. 여기서부턴 산길이 장난이 아니거든요. 옥녀봉은 설화부터 심상찮습니다.

아빠의 욕정에 희생되기 싫어 뛰어내려 죽은 옥녀의 넋을 기려 옥녀봉이라 했으니 말입니다.

산행시작 전 어제까지 비가 와서 미끄러우니 옥녀봉엔 가질 말라고 신신당부한 게 ‘민중의 지팡’씨들이라고 전통이 왔다네요. 근데 날씨가 하도 좋아 등산길이 다 말랐겠다 싶어 우린 마이동풍을 한 게지요.

난 지혜롭게(?) 안전코스를 택했는데, 일행은 위험코스로 내 지릅디다. 외톨이가 됐죠. 못났어도 혼자 옥녀봉 허리춤을 붙잡고 한참을 돌았지요. 두 바위가 쩍 갈라서서 협곡을 만들어 시원한 바람으로 나를 때리네요.

몸, 정신 가다듬고 왼편 바위를 보니 세 사람이 줄사다리에 매달려 흔들거리며 내려오고 있습디다.

줄사다리 꼭지도, 바위 정수리도 없는 하늘만 보이는데 저 사람들이 어디서 튕겨져 나와 용을 쓰는지 궁금하더이다. 여잔 신음에 가까운 괴성을 내다 땅(바위)에 닿자 사색이 풀리고 환호를 지르네요. 긴장을 놓는 그들에게 물었지요.

“옥녀봉이 어딥니까?” “이 위요.”

난 배낭끈을 조이고 사다리를 붙들고 오릅니다. 수직 바위를 오르는 게지요. 중간쯤 오르니 감정이 묘해지데요.

사다린 흔들거리지, 위는 하늘뿐이지. 역지사지 할 수밖에요. 안전코스가 이건가? 드디어 밧줄 꼭지가 보이고 비스듬한 정상 오름길이 나타납니다. 옥녀를 탔습니다. 꾀 넓습니다.

아빠의 마수를 벗어나려 몇 바퀴를 돌았음직한 넓은 마당바위였습니다.

두 사람이 가장 편하게 자연을 즐기고 있네요. 우리 일행은 흔적도 없어요. 바로 건너편 바위를 밧줄에 의지하여 내려오는 일단의 산님들이 떠들썩합니다. 다 내려온 그들은 한참동안 사라졌다가 뜬금없이 나의 발아래 바위 끝에서 솟아오르고 있습니다. 그래보니 동아줄 한 가닥이 여기 정수리의 대못에 묶여 절벽 아래로 내려져 있던 모양입니다.

인기척이 들린다싶으면 사람들의 머리가 솟습니다. 우리 일행도 어김없이 그렇게 솟아났습니다.

다만 개나리가 솟을 땐 괴성이 좀 자자했지만요. 우린 거기 바위마당에서 푹 즐겼지요. 참으로 스릴 넘치는 그래 자연히 쾌재를 토하는 시간 이였지요.

‘산에선 말도 남기질 말라’는 금언은 귀로에서 생각나데요.

우린 내가 아까 올라왔던 줄사다리에 매달립니다. 또 개나리가 앓고(?) 있네요. 오늘 내내 홍길동은 맨 뒤에서 일행을 챙깁니다. 닉네임과는 달리 침착과 배품이 배였네요. 지난 마니산 때 동행한 구면이지만 젊고 고운 얼굴만큼 맘 씀도 사려 깊었습니다.

그는 “남김없이 내려놓는 우리명산 답사기”를 읽는 책님에다 직업이 ‘민주의 지팡이’이기에 더 기분이 좋았답니다. 오아시스는 우석대학교에 근무한다는데 오늘 진종일을 운전하느라 수고 했답니다. 일행 중 유일하게 처음 만남이지만 편했습니다. 엊밤 잠 설친 얘길 듣곤 미안하여 대리운전을 자청해 보았지만 내게 운전대를 건너진 않더군요.

햇살, 개나리, 진달래 삼인방에 나중에 합세한 달봉님은 농 따먹기가 다반사인 처지구요.

근데, 옥녀바위 설화가 아무래도 갱킵니다. 왜 하필 ‘아빠’를 악마로 설정 했을까 말이죠.

남자들더러 보다 금욕의, 순정의 삶을 살라는 이 섬의 무언가가 있었을까요.

또 하난 ‘사량도(蛇梁島)’란 설화네요. 사량도의 상섬과 하섬 사이를 흐르는 바다가 마치 뱀 같다 해서 명명했다지만 비행기나 타고 조망하면 몰라도 여기서는 얼토당토 입디다. 다만 사랑할 수밖엔 없는 요소를 골고루 간직한 섬이기에 ‘사랑도’를 ‘사량도’라 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대와 같이 사량도를 왔음 좋았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한편 산행길이 장난이 아니란 걸 실감하면 다시 그 생각을 곧추 먹게 되네요.

산님들껜 영원히 사랑받게 될 사량도가 부쩍 늘어나는 탐방꾼들로 몸살 나지 않기를 바라고 싶었습니다. 09. 03. 22

'사랑하는 사람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훔친 매향  (0) 2010.02.18
박서방에게  (1) 2010.02.18
황폿집으로 간 산행  (0) 2010.02.18
겨울밤에 띄우는 편지  (0) 2010.02.18
결혼 30주년의 선물  (2) 201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