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걸어가는 길 - 산행기

회암사지, 천보산, 칠봉산

회암사지, 천보산, 칠봉산 - 연초록 숲바다 일렁대는데 인걸은 간 곳 없고 -

회암사지에서 본 천보산(우)과 칠봉산(좌)
회암사지와 부도탑

양주 회암사지(檜巖寺址)에 들어선 건 열 시반쯤이었다. 드넓은 사찰 터 당간지주 앞에서 아스라이 보이는 사리탑(舍利塔)은 회암사지가 얼마나 광대한 대찰(大刹)이었는가를 가늠케 한다. 어제 밤 KBS 드라마 <태종 이방원>의 마지막 32회 방송을 시청하다 떠오른 회암사지! 오늘 아침 내가 배낭을 짊어지게 된 소이다. 어젯밤, 이방원은 세종에게 3년여 동안 왕권세습을 다져주고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감한다.

회암사
무학대사부도탑

한발(旱魃)이 심했던 그 해 폭군이기도 했던 태종(이방원)은 운명 직전에 아들 세종 앞에서 기원한다.

“부디 저의 죄를 용서하시어 비를 내려 주시옵소서. 가뭄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을 거두어 주시옵소서. 백성들의 원망이 우리 주상을 향하지 않도록 해 주시옵소서. 부디 우리 주상의 앞날을 밝혀 주시옵소서.”라고.

왕위 3년차인 세종이 임종 직전의 상왕이 내민 손을 잡으며 애통해한다.

“어찌 이리 사셨습니까? 그 누구에게도 용서받지 못하시면서 무엇 때문에 그리 사셨습니까?”

마당바위 머릿돌에서 조망한 회암사지와 양주시가지 일부

아들 이겨먹는 애비 없단 말은 세종 앞의 태종이, 태종 앞의 태조(이성계)가 드라마 속에서 신물 나게 실증했다. 조선을 건국한 군주이자 천하무적 장군이었던 태조도 다섯째 아들 이방원의 권력욕과 강권 앞에 손들고 등 돌린 채 1402년 어느 날 회암사에 행차했다. 권력무상과 인생의 덧없음을 통감하며 조선 건국의 창업동지였던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주지로 있는 회암사를 찾았던 것이다.

천보산정상
천보산바위의 짝사랑이 빚은 소나무의 애증

무학대사는 2000여 명의 스님과 수십 명의 군관들을 회암사 보광전 앞에 도열시켜 극진히 환대 했다. 구름 떼처럼 모여든 백성들이 도열한 채 노쇠하고 초라한(?) 이성계를 지켜보는 광경은 인생의 의의를 자성케 했으리라. 사람의 일생은 한낮 일장춘몽인 것을! 광대한 회암사지 당간지주 앞에서 620년 전에 펼쳐졌을 그날의 포퍼먼스를, 폐허가 된 허허벌판의 266칸의 절간 주춧돌에서 유추해 봤다.

떡갈나무의 연초록 숲터널
천보산 암송의 애증의 역사도 맛깔나게 한다

조선 초 왕궁사찰이었던 회암사는 인도 출신의 원나라 승려 지공선사(指空禪師)가 1326년 3월 개경의 감로사(甘露寺)에 도착하여 2년 여 동안 통도사(通度寺)등 전국의 여러 사찰을 순례하다가 천보산자락에서 발길을 멈춘다. 지형이 인도의 아란타사(阿蘭陀寺)와 비슷하여 가람을 열면 불법이 크게 흥할 것이라고 말하자 절간이 하나씩 들어서고 나옹(懶翁)이 크게 중창하였다고 이색(李穡)이 <천보산 회암사 수조기(天寶山檜巖寺修造記)>에 기록했다.

천보산의 암벽타기도 만만찮다
까칠한 껍질이 돋보이는 물박달나무, 4월에 채취하는 수액은 인체에 중금속과 노폐물을 재거해준단다

일주문 옆구리 산길에 올라 숲을 헤치다 약수터에서 목을 축이고 부도밭에 올라섰다. 회암사동산의 무학대사, 나옹선사, 지공선사부도탑과 석등이 초파일 오색연등을 걸쳐 한결 신령스럽다. 세 분의 선사들이 지켜본 이방원의 왕권 다지기는 조선의 장래를 위한 현명한 치세였을까? 이방원의 손엔 피 마를 날이 없었다. 그는 상왕으로 세종 앞에서 단언한다.

일직선이다 싶은 천보산능도 눈길을 붙잡는다

“내 손에 피를 묻힌 건 다 주상을 위한 일이요. 주상의 손에 피를 묻혀서는 안 되겠기에 모든 악행들을 내가 짊어지려 한 거요. 주상은 오직 백성들을 보살피는 일에만 전념하시어 태평성대를 열어가는 성군이 되시오. 주상이라면 능히 그리할 수 있을 거요.” 엄숙함 속에 인자스러움이 묻어나고 있었다.   

​세종이 울먹이며 결연히 아뢴다.

검정단애에 자개수 놓은 듯한 꼬리진달래
고사목에 수 놓은 곤충들의 조각 예술품, 기똥차다

“죄 없는 백성들의 피로 얼룩진 토대 위에서 성군이 되라 하시는 겁니까? 억울하게 죽은 자들의 원한 속에 태평성대를 열어가라 하시는 것이옵니까? 네, 그리 하겠습니다. 기필코 성군이 되어 태평성대를 열겠습니다. 하나 그것은 아바마마의 뜻을 따르기 위함이 아니라 아바마마의 방법이 틀렸음을 증명하기 위해섭니다.”라고.

토치카, 왠 일인지 오랫동안 방치 된 토치카를 잇는 방호길을 재정비하느라 군인들이 땀 흘리고 있었다
암송의 영원한 애증의 포퍼먼스

회암사를 일별하고 108 바위 쉼터에 서니 아담한 회암사 경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싱그러운 5월의 신록에 보석처럼 박힌 오색연등이 어째 엄숙하고 신령스러운 사찰분위기를 일신시키지 않는다. 천보산을 오르는 바위길은 여간 된비알이다. 5월의 눈부신 태양이 연두 이파리를 투영해 실핏줄에 생기를 주사(注射)한다. 갈참나무 떡잎이 바르르 떤다. 계절의 여왕은 온 산하에 풍요의 체취를 흩뿌리나 싶다.

연초록숲의 바다, 소요하는 자체가 꿈결속 기분을 느끼게 한다

모가지 쑥 내민 전망바위에 올라서서 조망하는 회암사지와 양주시가지는 지공선사가 불국토(佛國土)라 한 소이를 상상할 만하다. 하여 천보산엔 옛날 군사들의 요새인 보루(堡壘)가 산능선에 대여섯 군대나 있다.

천보산 바위의 짝사랑에 붙잡힌 소나무들의 애타는 퍼포먼스는 덤으로 얻는 멋들어진 산수화다. 정상 마당바위가 해산하는 물범바위와 눈인사를 하고 칠봉산을 향한다. 장림고개로 내닫는 하산 숲길은 싱그럽고 상쾌하다.

2012년 10월28일 제6회 Do Dream 동두천 국제MTB대회엔 1,500여명의 산악자전거 라이더와 갤러리들이 참여하여 35km를 레이싱 했다. 칠봉산등산코스는 MTB코스와 숨바꼭질 하듯 조우한다. 네댓명의 라이더가 5월의 연두숲길을 질주하는 낭만이 부러웠다
천보산과 칠봉산의 경계인 장림고개의 별장촌

연둣빛의 넓은 잎으로 성장한 떡갈나무군락지는 늘 푸른 5월의 상큼한 초록바다의 멋에 취하게 한다. 한 치의 틈새도 없는 연초록 이파리들이 바람결에 출렁대는 물결은 여지없는 연초록바다 속이다. 그 연초록 바닷속을 무작정 헤엄치듯 산책하는 행복은 칠봉산의 5월이 선사하는 유토피아다. 떡갈나무들의 연초록 숲바다를 질주하는 MTB족들의 경쾌함이 부럽다. 칠봉산은 산악자전거 동호인들의 메카다.

필자, 어느 산악인 부자(夫子)와 정상에서 조우하여 찍어 준 사진
칠봉산정상에서 조망한 덕정역시가지

칠봉산은 왕들의 수렵장이었다. 왕궁에서 멀지 않은 그다지 높지 않은 산들이 준령을 이뤄 사냥터로 안성맞춤이었다. 더구나 천보산 아래에 왕궁사찰인 회암사가 있으니 호연지기를 즐기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별궁이었던 셈이다. 하여 칠봉산정엔 사냥터로써의 일곱 개의 별명이 존재한다. 승마 사냥터의 요람이었던지라 MTB 산악자전거의 메카가 될 만한 산세와 지형이란 걸 실감케 된다. 아니 산악 트레킹의 유토피아이기도 하다.

칠봉산정에서 조망한 천보산준령(좌)
장림고개다리, 군인들이 점심 후 토치카루트 복구작업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남과 북 냉전시의 기싸움 트라우마가 뇌리를 스쳤다

세자였던 방석, 태조의 스승 정몽주와 절친 정도전을 비롯하여 수많은 병사와 신하들과 백성들의 목숨을 빼앗고, 장인이자 영의정인 심온(沈溫)마저 죽인 이방원은 세종한테 역설한다.

“군왕은 때론 필요하면 악행도 단행하는 거요. 한 명의 외척을 참살하여 만백성이 평안할 수 있다면 그리하는 게 군왕이요.”라고 단언하는 부왕 태종께 세종은 의연하게 아뢴다.

투구봉의 풍향계가 사냥과의 어떤 함수관계가 있능가?

“ 그건 군왕의 자격이 없는 겁니다. 한 사람의 억울한 죽음도 없이 만백성을 구할 줄 알아야 참다운 군왕의 자격이 있다 할 것이옵니다. 하나를 죽여서 열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은 소인배에 불과할 뿐이옵니다. 제가 국왕의 자리에 있는 한 죄 없는 사람이 죽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옵니다.” 세종은 상왕의 눈길을 외면한다.

깃대봉의 칠봉정자
떡갈나무들의 세몰이에 질세라 소나무들도 떼지어 춤판을 벌리는 칠봉산

바람 한마장이 떡갈나무 숲을 요둉친다. 나붓대는 잎들의 소리가 말초신경까지 닿았다. 아! 시원하다. 연초록 숲을 울리는 봄바람의 애무는 나를 숲에 살 것을 요청하나 싶었다. 그리 살 수만 있으면 하산을 그만두고 싶다. 허나 나는 그런 담대한 심장의 사내가 아님을 잘 안다. 아니 그리 못하는 졸부의 어눌함을 사랑하나 싶다. 숲을 사랑만 했지 동거하는 자연인은 못될 나란 걸 확신한다. 그래 산행으로 행복할 뿐이다.           2022. 05. 02

치성바위
▲청풍계곡방향으로 하산하여 교회묘역까지의 마사토 경사로는 은근히 조바심을 키웠다. 그래설까? 길은 등산길인데 인적이 없어 초행길인 나로썬 여러모로 신경 날서게 했다▼
회암사지 박물관
회암사지공원
드넓은 회암사지는 수 많은 주춧돌만이 옛날의 영화를 웅변하고 있다
회암사 미니어처 유리벽
회암사지와 공원만 소요하는 데도 한나절은 걸릴 테다
회암사일주문, 나는 약수터를 향하는 산길을 들머리로 삼았다
회암 깊은 골의 약수는 물맛이 기똥찼다
무학대사 쌍사자석등, 1407년에 건립된 석탑은 조선조 부도 중 젤 뛰어난 걸작품이란다
무학대사비문과 부도탑
1326년 고려 충숙왕때 입국 2년간 머문 지공선사 부도와 석등
나옹선사 부도와 석등
천보산 암벽등로에서 조망한 회암사조감도
된비알 암벽등로도 싱그러운 연초록 숲길이라 상쾌했다
암벽은 꼬리진달래 한다발을 가슴에 달고 한껏 멋을 부렸다
거북바위도 꼬리진달래를 건사하고 있고!
암벽에 5월의 풍요를 선 뵈는 붉은병꽃과 흰꼬리진달래
바위동네 몽구스가 된 외로운 소나무
두꺼비바위
바위틈새에 뿌릴 박은 팥배나무의 개화
벼랑에서 미끄러지는 동료를 붙잡고 있는 소나무들
끝내 바위의 외골사랑을 탈출하지 못한 채 고사되어 가는 고송
칠봉산
바다물범바위가 천보산정상 바위틈새기로 기어나오고 있다
싱그러운 떡갈나무숲의 연초록 터널길
장림고개 다리의 MTB구조물
토치카
그 동안 방치된 방호루트를 새삼스럽게 복구하는 군병사들, 그냥 운동삼아 하는 작업이길 염해 봤다
물박달나무 연리지(좌)와 노린재나무와 팥배나무의 연리목 꽈배기사랑(우)
어째서 진달래바위라 했는지?(좌) 잊을 만하면 나타나 방긋 웃는 꼬리진달래를 곁에 식재해 줬슴 싶었다
이 소나무는 바위를 한바퀴 훼 돌면서 목하 탈출 중이라
두꺼비바위(좌)와 석상(우)
해룡산
▲석봉의 괴송▼
치성바위
청풍계곡1.1km는 자연상태 그대로인 급경사 마사토길이라 엄청 신경쓰였다. 길은 산길이되 인적 없는 등산로라 하산하면서 여간 초조했다
청풍계곡길 날머리 교회묘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