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느낌~ 그 여적

영화‘1987’의 메시지

영화‘1987의 메시지

 

영화‘1987은 학생 연희(김태리)가 광장에 있는 버스 위에 올라가 광장을 매운 인파를 주시하면서 엔딩크레디트를 준비한다. 그러나 장준환감독은 1987년의 분노부터 2017년의 함성까지의 30년 세월을 2시간여 동안 줄차게 달려와 광화문광장에 있는 우리들을 연희의 시선을 통해 도도한 역사의 흐름을 조명하고 싶었지 싶었다.

 

 

영화‘1987에서의 주인공들은 실제인물들이다. 다만 한교도관(유해진)의 조카 연희만이 허구의 인물인데, 여학생연희가 곧 우리들 중 나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불의와 양심이란 행동의 기로에서 갈등하는 게 침묵했던 나를, 우리 모두를 보는듯했다.

 

 

 

진실을 말하려는 삼촌을 향해 그런다고 세상이 달라질 것 같아?’라고 쏘아붙이면서도 삼촌을 읽는 정의의 마음은 하나의 촛불이 되고, 그런 촛불들은 함성이 되어 마침내 정의의 강물로 역사발전의 동력이 됨을 영화‘1987은 말한다.

 

 

공권력의 탁 치니까 억하고 죽었다는 박종철 죽음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화장을 끝내 거부하고 해부를 고집한 최검사(하정우), 박종철사인에 대해 실토한 의사와 주검의 내부고발자 한교도관이 없었다면, 이 사실을 세상에 알린 윤기자(이희준)가 모른 챌 하고 이한열(강동원)학생의 분노가 없었다면 2017년의 광화문촛불은 아직 일지도 모른다.

 

 

사악하고 부당한 공권력의 상징 박처장(김윤석)은 군부독재의 맨얼굴로 잔혹성을 여지없이 보여준다. 거짓이 진실을 가리고, 불의가 정의를 은패하기 위해 사람이 얼마나 악독해 질수가 있는지를, 사리사욕과 출세를 위해 독재자에 아부 맹종하는 엘리트들의 야누스가 우리의 삶을, 사회를, 국가를 어떻게 파괴하는지를 보여주는 게 영화‘1987이 아닐까.

 

 

독재에 빌붙어 출세지상주의에 눈먼 권력자의 주구(走狗) 박처장의 영욕은 김기춘이나 우병우 같은 사이비엘리트들의 전범이 됐을 것이다. 그런  사욕이 박종철의 죽음을 낳고도 다시 암울한 시대로 시계추를 되돌려 30년을 지배한다. 하지만 사악한 엘리트들인 그들은 연희가 여리고 어려 영원한 방관자로 살아갈 거라고 착각한다. 사회악에 맞서는 걸 갈등하고 주저하면서도 결코 물러서질 않는 연희가 우리들이며, 민중들이란 걸 간과한다.

 

 

영화‘1987은 검찰이 바로서야 사회정의가 꽃피고 민주주의가 튼실한 나라가 된다는 걸 저변에 깔고 있다. 내 옆의 어느 여성관객은 엔딩크레디트가 명멸해도 자리에 앉은 채 눈시울을 훔치고 있었다. 우리 모두가 체험한 질곡의 역사였기에 감동은 배가했을 테다. 우리 모두는 분노하고 암울했던 그 때 그 날 질곡의 현장에서 다시 마음 추스르기 위해서도 꼭 봐야할 영화가 아닐까.

2018. 01